서울 서남권의 핵심 주거지 중 하나인 구로동은 구로디지털단지, 신도림역 더블역세권 등 강력한 입지 경쟁력을 바탕으로 꾸준한 매매 수요가 이어지고 있는 지역입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신도림태영데시앙과 구로두산위브를 중심으로 2024년 하반기 이후 실거래가와 평당 가격 기준으로 자세히 비교해볼게요.
📌 구로동 아파트 시장 개요
- 거래기간: 2024년 7월 이후
- 총 거래 건수: 536건
- 평균 실거래가: 5억 8,288만 원
- 평균 평당 매매가: 3,075만 원
💰 실거래가 기준 TOP 10
1 | 신도림태영데시앙 | 13억 1천만 |
2 | 신구로자이 | 11억 9천만 |
3 | 신도림태영데시앙 | 10억 9천만 |
4 | 신도림태영데시앙 | 10억 9천만 |
5 | 신도림태영데시앙 | 10억 8,700만 |
6 | 신도림태영데시앙 | 10억 8천만 |
7 | 신도림태영데시앙 | 10억 7천만 |
8 | 신도림태영데시앙 | 10억 6천만 |
9 | 신도림태영데시앙 | 10억 6천만 |
10 | 신도림태영데시앙 | 10억 6천만 |
✅ 신도림태영데시앙이 실거래가 상위 10위권을 대부분 차지하며 압도적인 시장 강세
✅ 구로두산위브는 실거래가 9억 미만으로 상위권 진입은 어려운 상황
📈 평당 가격 TOP 10
1 | 신도림태영데시앙 | 5,300 |
2 | 신도림태영데시앙 | 5,245 |
3 | 신도림태영데시앙 | 5,217 |
4 | 신도림태영데시앙 | 5,134 |
5 | 신도림태영데시앙 | 5,123 |
6 | 신도림태영데시앙 | 5,107 |
7 | 신도림태영데시앙 | 5,107 |
8 | 신도림태영데시앙 | 5,079 |
9 | 신도림태영데시앙 | 5,079 |
10 | 신도림태영데시앙 | 5,062 |
✅ 신도림태영데시앙은 평당 5,300만 원을 넘기며 구로동 내 유일한 고평단 단지
✅ 구로두산위브는 평당 4,482만 원 수준, 중상위권에 위치하지만 간극 존재
🏙 신도림태영데시앙 단지 분석
- 입주 시기: 2009년
- 세대수: 약 1,100세대
- 주요 평형: 전용 84㎡ 중심
- 특징:
- 신도림역 도보권 (1·2호선 더블역세권)
- 인근 대형마트 및 구로디지털단지 접근 우수
- 브랜드 관리 우수, 실거주 만족도 높음
강점 요약:
✔️ 신도림역 인접한 실질적인 핵심 입지
✔️ 전세 수요 풍부 → 안정적 시세 유지
✔️ 중대형 신축 브랜드로 상품성 우수
🌇 구로두산위브 단지 분석
- 입주 시기: 2006년
- 세대수: 약 1,000세대
- 주요 평형: 전용 59~84㎡
- 특징:
- 구로역, 구일역 더블생활권
- 생활 편의시설과 학군 수요 양호
- 구축이지만 단지 규모 크고 관리 상태 양호
강점 요약:
✔️ 신도림 대비 가격 메리트 있음
✔️ 전용 59㎡ 거래 활발 → 실수요자 선호
✔️ 구로IC 및 남부순환로 접근성 좋음
📊 요약 비교
최고 실거래가 | 13억 1천만 원 | 약 8억 8천만 원 추정 |
최고 평당가 | 5,300만 원 | 4,482만 원 |
입주연도 | 2009년 | 2006년 |
브랜드 | 태영 데시앙 | 두산 위브 |
교통 | 신도림역 도보권 | 구로역/구일역 인근 |
상품성 | 신축 브랜드 & 대단지 | 중형 구축 & 가성비 |
투자/실거주 적합성 | 프리미엄 선호층 위주 | 실속형 실수요자 위주 |
✅ 구로동 아파트 실거래 FAQ
Q. 현재 구로동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는?
→ 신도림태영데시앙, 실거래가와 평당가 모두 1위
Q. 신도림태영데시앙의 가격이 높은 이유는?
→ 더블역세권 입지, 브랜드 프리미엄, 중대형 평형 구성 때문입니다.
Q. 구로두산위브의 강점은 무엇인가요?
→ 가격 대비 실거주 여건 우수, 교통 접근성과 생활 편의시설 확보
Q. 현재 매수 시점으로 괜찮은 단지는?
→ 실거주라면 데시앙, 가격 메리트 중시라면 구로두산위브도 유효합니다.
Q. 향후 가격 전망은?
→ 구로디지털단지 확장, 대형 오피스 유입 등으로 중장기 수요 견고한 지역입니다.
📌 마무리 정리
- 신도림태영데시앙은 고가 단지로서 입지, 브랜드, 평형 3박자 모두 갖춘 프리미엄 아파트
- 구로두산위브는 실거주 기반의 가성비 단지로, 구축 대비 전세 수요 강하고 안정적 흐름
두 단지 모두 서남권 핵심 입지에 기반한 안정적 수요를 바탕으로
2025년 이후에도 탄탄한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동산 선택의 핵심은 "현재와 미래를 동시에 고려한 접근"입니다.
이번 분석이 매수와 투자 판단에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