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북권 재개발의 상징, 수색증산 뉴타운의 중심지 수색동. 이곳에서 최근 가장 주목받는 아파트는 단연 DMCSK뷰와 DMC롯데캐슬더퍼스트입니다.
2024년 하반기 이후의 실거래가 및 평당 매매 가격을 기준으로 이 두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 흐름, 단지 특성, 향후 전망까지 정리해드릴게요.
📌 수색동 아파트 시장 요약
- 2024년 7월 이후 거래 건수: 70건
- 평균 실거래가: 9억 6,983만 원
- 평균 평당가: 4,274만 원
▶ 전통적 구축 위주였던 수색동이 신축 브랜드 아파트 입주로 인해 시세 수준이 확연히 상향되고 있어요.
💰 실거래가 TOP 10
1 | DMC롯데캐슬더퍼스트 | 15억 6천 |
2 | DMCSK뷰 | 15억 |
3 | DMCSK뷰 | 15억 |
4 | DMCSK뷰 | 14억 3천 |
5 | DMC자이1단지 | 14억 |
6 | DMCSK뷰 | 13억 9천 |
7 | DMCSK뷰 | 13억 8천 |
8 | DMCSK뷰 | 13억 7,500 |
9 | DMCSK뷰 | 13억 2천 |
10 | DMC자이1단지 | 12억 5천 |
▶ 롯데캐슬더퍼스트가 실거래 최고가 15.6억 원으로 1위
▶ DMCSK뷰는 13억~15억대의 안정적인 고가 흐름 유지 중
📈 평당 매매 가격 TOP 10
1 | DMCSK뷰 | 6,723 |
2 | DMCSK뷰 | 6,707 |
3 | DMCSK뷰 | 6,558 |
4 | DMCSK뷰 | 6,503 |
5 | DMCSK뷰 | 6,338 |
6 | DMCSK뷰 | 6,172 |
7 | DMCSK뷰 | 6,045 |
8 | DMCSK뷰 | 5,834 |
9 | DMCSK뷰 | 5,834 |
10 | DMC롯데캐슬더퍼스트 | 5,679 |
▶ 평당 6,700만 원 돌파는 수색동 기준으로 최고 수준
▶ DMCSK뷰가 평당가 상위 9개를 모두 차지하며 가격을 리딩
🏙️ DMCSK뷰 단지 특징
- 입주: 2023년 6월
- 브랜드: SK에코플랜트
- 세대수: 약 500세대 이상
- 특징:
- 수색역·DMC역 더블역세권
- 중대형 평형 비중 높음
- 수색뉴타운 내 첫 입주 프리미엄 신축
▶ 평당가와 실거래가 모두 최고 수준, 실거주·투자 수요 모두 확보
▶ 커뮤니티, 세대 내부 마감 완성도 모두 상급 수준
🏢 DMC롯데캐슬더퍼스트 단지 특징
- 입주: 2022년
- 브랜드: 롯데건설
- 세대수: 약 1,200세대 (대단지)
- 특징:
- 수색역 인근 대규모 브랜드 타운
- 다양한 평형 구성, 실거주 선호도 높음
- 커뮤니티 시설 우수 + 학군 접근성 우수
▶ 브랜드 대단지 선호층 확보
▶ 중소형 평형 대비 전용률 높고, 실수요 중심의 거래 지속
🧾 평균 시세 요약표
평균 실거래가 | 9억 6,983만 원 |
평균 평당 매매가 | 4,274만 원 |
최고 실거래가 | 15억 6천만 원 |
최고 평당가 | 6,723만 원 |
⚠️ 매수 시 주의할 점
- 브랜드·입지 좋다고 해도 평형별 시세 격차 큼
- **동·층·뷰(철도변, 시야확장 여부)**에 따른 시세 차이 존재
- 신규 입주 단지는 전월세 이슈와 잔금 리스크도 체크
✅ 수색동 아파트 시세 FAQ
DMCSK뷰가 이렇게 비싼 이유는요?
→ 수색뉴타운 내 첫 입주 단지 + SK브랜드 + 역세권 입지 + 대형 위주 평형 때문입니다.
롯데캐슬더퍼스트도 괜찮은가요?
→ 실거주 만족도 매우 높고, 커뮤니티와 단지 규모 덕분에 가족 단위 수요에 강합니다.
두 단지 중 투자 목적으로 고르자면?
→ 단기 수익형은 SK뷰, 장기 안정형은 롯데캐슬 추천드립니다.
지금 들어가면 너무 고점 아닌가요?
→ 신축 프리미엄 지역은 일시적 하락 가능성은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견조한 흐름이 예상됩니다.
전세가율이나 전세시장 분위기는 어떤가요?
→ 2025년 기준으로 전세가율은 약 60~65% 수준으로 안정적이며, 입주 수요도 꾸준합니다.
📌 요약 정리
최고 실거래가 | 15억 | 15억 6천 |
평당 최고가 | 6,723만 원 | 5,679만 원 |
입주연도 | 2023년 | 2022년 |
평형 구성 | 중대형 위주 | 중소형 다양 |
수요 성격 | 투자 + 실거주 | 실거주 중심 |
강점 | 역세권+신축 프리미엄 | 대단지 브랜드 + 생활인프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