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백신 관련주 주가 전망 GC 녹십자 홀딩스 웰빙 엠에스

by 새벽부엉이🦉 2024. 1. 28.
반응형

매년 찾아오는감기

매번 변하는 바이러스, 그에대응하는 백신.

한국에서 잘 알려진 백신기업들이 있습니다 그중 가장 잘알려진

백신기업인 녹십자에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백신 관련주 주가 전망 GC 녹십자 홀딩스 웰빙 엠에스
백신 관련주 주가 전망 GC 녹십자 홀딩스 웰빙 엠에스

 

녹십자

 

백신 관련주 주가 전망 GC 녹십자 홀딩스 웰빙 엠에스
백신 관련주 주가 전망 GC 녹십자 홀딩스 웰빙 엠에스

 

한일시멘트에서 시작한 녹십자는 1969년 제약업으로 시작, 지속가능한 경영을 목표로하는 영리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대한적십자사의 혈액을 재가공하고 독감백신을 생산하는 등 다양한 의약품 제조에 참여하고있습니다.

특히 혈액관련 제품과 독감 예방을 위한 백신의 매출비중이 높아 안정적인 매출을 기반으로한 기업입니다.

 

 

녹십자홀딩스[005250] 주가

 

백신 관련주 주가 전망 GC 녹십자 홀딩스 웰빙 엠에스
백신 관련주 주가 전망 GC 녹십자 홀딩스 웰빙 엠에스

 

녹십자그룹은 그룹의 지주회사로

시가총액은 7천억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녹십자홀딩스는 현재 영업손실이 발생하고잇습니다.

영업손실의 이유는 과도한 투자때문입니다.

그룹내에 새로운 계열사들 중 상당수가 영업손실을 기록하고있습니다.

때문에 이익이 나고있는 계열사에서 손실을 보고있는 계열사의 적자를 막아주다보니

기업의 성장에 도움이 되지않을뿐더러  지주사임에도 불구하고 영업손실이 발생하고있습니다.

 

녹십자[006280] 주가

 

백신 관련주 주가 전망 GC 녹십자 홀딩스 웰빙 엠에스
백신 관련주 주가 전망 GC 녹십자 홀딩스 웰빙 엠에스

 

 

녹십자그룹은 2023년12월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알리글로의 출시를 앞두고있는 상황입니다.

알리글로는 현재 4천억정도로 평가받고있습니다.

분기실적을 고려했을때 알리글로가 4천억 정도로 평가받고있기때문에

실적상승에 기대 할 수 있습니다.

 

24년 전망매출은 대략 1조7천억,영업이익이 700억수준으로 예측됩니다.

 

현재 회사가치는 대략  1조3천억정도로 24년도의 전망은 밝아보입니다.

녹십자만 보면 충분히 투자할만한 가치가 보이나

 

사촌경영 체제를 유지하고있는 녹십자이기때문에, 다른 계열사의 적자를

서로서로가 책임지는 형태의 경영에있어서 다소 투자에있어서 조심성이 필요해보입니다.

 

녹십자웰빙[234690]

 

백신 관련주 주가 전망 GC 녹십자 홀딩스 웰빙 엠에스
백신 관련주 주가 전망 GC 녹십자 홀딩스 웰빙 엠에스

 

녹십자웰빙은 국내 태반주사 시장에서 77%라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유하고있습니다.

최근 녹십자웰빙은 중국에 진출하기위해서 중국 NMPA승인을 받고자 노력중입니다.

 

태반주사의 효능으로는 간기능개선 혹은 갱년기 증상의 개선에 효과적이고 국내에서는

노년층에게 입소문이 많이나 널리 사용되고있습니다.

 

국내에서도 많이 사용되고있는 만큼 중국에 진출하게된다면

국내에서와는 비교 할 수 없을만큼 엄청난 매출을 보여줄것으로 예상됩니다.

 

녹십자 엠에스[142280]

 

백신 관련주 주가 전망 GC 녹십자 홀딩스 웰빙 엠에스
백신 관련주 주가 전망 GC 녹십자 홀딩스 웰빙 엠에스

 

녹십자 엠에스는 진단시약과 의료기기를 주력으로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최근 댕기열바이러스 신속진단키드를 개발해, 수출허가를 획득하기도 했습니다.

 

해당키드는 혈액 검체를 통해 20분안에 바이러스에 감염이되었는지 감염여부에서 대한 확인이 가능합니다.

신속하게 확인이가능할 뿐만아니라, 높은 정확성으로 주목을 받고있는 중입니다.

 

녹십자 엠에스의 현재 주가는

시가총액 약 940억원

23년에는 영업이익이 18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

코로나사태에 대한 상황이 많이 좋아지면서 적자로 전환된것으로 예측.

향후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통해 적자를 줄이고 흑자로 전환이 필요합니다.

코로나같은 세계적인 대형 팬데믹과같은 상황이아니더라도, 일상에서도 경쟁력있는

그런 경쟁력이 필요해보이는 시점입니다.

반응형